작성일: 2009년 12월 10일 목요일

검색은 세상의 정보를 발견하기 위한 자연스런 출발점입니다. 구글은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가장 최신이면서 종합적이고 연관성이 높은 검색 결과를 제공해, 확장하고 있는 전세계 컨텐츠를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 기기를 통해 경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희가 최근 컴퓨터박물관(Computer History Museum)에서 발표한 내용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구글이 발표한 새로운 혁신 기능들은 검색의 진화 과정에서 중대한 전환기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먼저 업데이트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실시간 검색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글로벌 사이트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트위터나 프렌드피드와 같은 인기 사이트에서 논의되는 화젯거리를 확인하거나 몇 초 전에 올라온 뉴스나 블로그의 글도 볼 수 있습니다. 구글은 이들 최신 결과에도 랭크를 적용해 검색 페이지에 가장 최신의 정보이면서 연관성 높은 검색결과를 보여줄 것입니다.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이나 스포츠 또는 최근의 정부법안 등에 대해 검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관련 내용이 트위터, 뉴스속보, 새로운 블로그 글 등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라면 구글에서 바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실시간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스크린 샷입니다.





구글의 실시간 검색 기능은 속보가 들어오는 순간에 해당 뉴스를 볼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이전처럼 오늘의 인기 뉴스나 먼저부터 알고 있는 뉴스일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검색창에 “gm”을 입력해보니 “뉴스 검색결과(News results)”에 오늘의 화젯거리(사람들이 많이 본 뉴스)로 GM의 차 판매가 안정세를 보인다는 내용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여기에 실시간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최신 결과(Latest results)"에 또 다른 중요한 내용이 몇 초 전에 발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GM의 CEO가 사임했다는 내용입니다.

검색옵션 메뉴에서 “최신 결과(Latest results)"를 클릭하거나 "최신정보(Latest)"를 선택하면 실시간 트위터나 블로그는 물론 따끈따끈한 뉴스를 한번에 볼 수가 있습니다. 필터링 기능을 사용하면 트위터, 프렌드피드, 자이쿠와 같은 마이크로 블로그 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만을 골라 볼 수도 있습니다. 최신 결과와 신규 검색 옵션은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재 스키장의 설질은 물론 야간에 볼 영화에 대한 네티즌의 최신 평가를 입장권 구매 직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검색 서비스와 함께 구글 트렌드에는 “핫토픽”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퍼블리싱하고 있는 가장 공통적인 토픽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의 추가와 일련의 향상된 UI를 통해 구글 트렌드는 이제 실험적인 수준을 벗어나고 있습니다.

구글의 실시간 검색 기능에는 수 많은 새로운 검색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구글은 이를 통해 하루에도 수십억 페이지의 문서를 체크하고, 수억 개의 실시간 변화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기술은 최근에 발표가 있었던 트위터페이스북, 마이 스페이스, 프렌드피드, 자이쿠, Identi.ca 와의 제휴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새로운 기능들은 앞으로 몇 일 후면 영어판으로 전세계에서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는 구글 트렌드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핫토픽"을 눌러보시면 대부분의 경우 실시간 검색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비디오는 구글 실시간 검색에 대한 소개입니다.



두 번째로 소개해 드리는 것은 모바일 검색에 관한 것입니다. 오늘날 각종 센서를 장착한 스마트폰은 “검색어"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검색어는 기존의 텍스트를 넘어 음성, 위치, 이미지 등 새로운 수 많은 "형태"로 검색을 할 수 있는 것이고 이 모든 게 모바일에서 가능합니다.

오늘부터 안드로이드폰을 통한 음성 검색에서는 일본어가 지원됩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폰 위치 정보를 이용해 “주변 검색(what's nearby)”과 같은 새로운 기능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날 행사장에서는 카메라폰을 이용해 언어가 아닌 이미지로 검색을 하는 구글 고글스(Google Goggles) 기능을 시연했습니다. 모발일 검색과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희는 이전에 검색은 여전히 미완의 숙제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구글은 사용자가 더욱 다양한 정보의 세계에 더욱 빠르고 더욱 쉽게 그리고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실시간 기능은 2007년 유니버설 검색 발표 이후 구글에게 가장 큰 도전과제였다는 점도 아울러 말씀 드립니다.

작성자:구글 펠로우 아미트 싱할(Amit Singhal)